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양이 질병

(5)
'고양이 곰팡이성 피부병 링웜' 원인, 증상, 관리법 정리 '고양이 곰팡이성 피부병 링웜' 이란? 곰팡이성 피부병인 링웜은 이름만 들으면 기생충에 의한 피부병인가 싶을 수 있지만 곰팡이성 피부병으로 사람에게까지 전염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주로 면역력이 약한 새끼 고양이들이 덥고 습한 날씨에 잘 걸리기 때문에 새끼 고양이를 입양하시는 분들이라면 주의해야 합니다 '고양이 곰팡이성 피부병 링웜' 증상 가려움 전신에서 탈모, 각질, 딱지 발생 턱에 블랙헤드 발생 피부색이 어둡게 변색됨 발톱이 부서지거나 기름기가 많아짐 평소보다 피부와 털을 자주 그루밍함(핥음) '고양이 곰팡이성 피부병 링웜' 관리법 빠른 동물병원 진단받기 전염 방지를 위한 고양이 격리 및 활동자제(침구 - 교체가 용이한 종이박스 사용) 링웜 전용 스프레이와 샴푸 사용하기(미코나졸,클로르헥시딘 함유 제품)..
'고양이 우울증' 원인과 증상 그리고 개선방법 정리 '고양이 우울증' 원인 주거지 변화 남의 집에 가서 잠을 자게 되거나 여행을 갈 경우 잠자리가 불편해 바로 잠에 들지 못하는 사람을 보거나 그런 입장인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특히 고양이처럼 자신의 영역을 중요시 하는 동물의 경우 갑작스레 주거환경이 바뀌게 되면 경계부터 하기 때문에 혹 이사를 하게 될 경우 평소 고양이의 밥그릇, 물그릇, 케이지 등의 위치를 잘 기억해두셨다가 최대한 원래 위치대로 배치를 해주시는 게 고양이에게 스트레스도 덜 가고 적응하는 데에도 시간이 덜 들어갑니다 낯선 방문객 혹시 어릴 때 집에 부모님의 지인들이 오거나 형제, 자매분들의 친구들이 집에 온 적이 있으실까요? 낯가림이 없고 친한 관계의 사람들이라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시겠지만 낯가림이 있고 처음 본 사이라면 불편함을 느껴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감염경로, 예방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증 이란? 사람의 백혈병과 비슷하게 면역결핍과 종양성 질환 증상이 나타나서 고양이 백혈병이라 불리며 치사율이 매우 높은 질병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증 전염경로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의 경우 침, 혈액, 콧물, 분변, 모유 등으로 감염이 됩니다 그러다보니 그루밍, 다른 고양이에 의한 상처, 감염된 어미 고양이에 의한 새끼 고양이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각막 : 각막의 궤양, 부종, 종창, 종괴, 결절 구강 : 구강점막 수포, 홍반, 궤양 신체 : 구토, 기침, 발열, 고열, 발작, 실신, 경련, 호흡 : 호흡곤란, 그르렁거림, 개구호흡, 구강악취 배변 : 배변량 감소, 변비 심리적 : 식욕부진, 식욕감소..
고양이 설사, 발열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원인, 증상, 치료법 정리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FPL)' 이란? 고양이 파보 바이러스(Feline parvo virus, FPV)에 의해 발병하며 백혈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감염된 동물의 체액, 배설물 등의 접촉으로 감염되며, 체액과 배설물에 접촉한 벼룩, 빈대, 침구류, 음식, 의류, 신발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보니 전염성이 굉장히 높으며, 치사율 모두 높아 고양이에겐 치명적인 질병에 속합니다. 사망률 생후 두 달 이내 = 95% 치사율 생후 두 달 이상 = 60~70% 치사율(치료 동반) 성묘(성인)고양이 = 10~20% 치사율(치료 동반) 상묘(성인)고양이 = 85% 치사율(치료 X)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FPL)' 증상 초기증상 위궤약으로 인한 혈변, 설사 심한 탈수, 영양실조, 빈혈 정신적 ..
'반려견,묘가 반드시 예방해야하는 '심장사상충' '심장사상충' 이란? 식육목 동물들을 숙주로 삼는 기생충으로 모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특히 개와 고양이가 걸리기 쉬운 기생충이며 가장 치명적인 기생충이기에 반려견,묘를 키우는 사람들에겐 가장 주의해야할 기생충입니다 '심장사상충' 증상 개 무증상, 아주 약한증상 ↓ 기침, 운동시 피로감, 약한 정도의 체중 감소 ↓ 심한 기침, 약간의 운동시에도 피로감, 컨디션 저조, 빈혈, 복수, 졸도, 호흡곤란, 확연한 체중 감소 ↓ 대정맥증후군 {피색깔의 오줌(혈색소뇨), 초음파로 후대정맥에 성충이 돌아다니는걸 확인} (개의 경우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증상의 강도가 증가함) 고양이 호흡기증상, 얀한 피로감, 무증상 급사 (고양이는 개에 비해 증상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검사 정확도와 민감도도 떨어지기에 예방을 잘해야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