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지식물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식충식물'의 종류와 사냥 원리 정리 '식충식물'이란? 벌레를 잡아 소화와 유사한 화학적 분해과정을 거쳐 먹이에게서 필요한 영양분을 얻어내는 식물입니다 '식충식물' 종류 포획식 닫아서 잡는 방식 : 조개처럼 포충엽을 양쪽으로 벌리고 있다가 벌레가 들어와 감각기관을 건드리면 잽싸게 잎을 닫아 잡아먹는 방식을 사용하는 식물입니다 통발식 : 잎이 주머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포충낭을 이용하여 벌레가 다가오면 스포이드처럼 구멍속으로 빠르게 흡입하여 먹습니다 함정식 통발식 식충식물의 거대화 버전이라고 볼 수 있는 구조로 긴 호리병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호리병 속에는 거꾸로 난 털이 있어 벌레들이 안으로 빠지면 기어 나올 수 없게 하고 혹여나 주둥이까지 나오거나 걸친 상태가 되더라도 주둥이 부분이 매끄러워서 안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입니다 끈끈이식 벌레가 날.. 다육식물 추천 및 종류별 키우는 법 총정리!! 다육식물이란? 건조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위해 줄기나 잎에 많은 양의 수분을 저장하고 있는 식물로 탱탱한 잎과 뿌리에 많은 수분을 쌓아 건조지대에서 자랄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낮에는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기공을 닫고 있다가 저녁부터 밤에 기공을 열어 호흡을 시작하죠. 탱탱하고 다육질적인 잎을 가진 종류부터 뿌리 부분을 비대시켜 물을 저축하는 괴근식물 등 다육식물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다육식물의 특징 1. CAM형 광합성 다육식물의 특징은 수분을 절약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징들인데요 대표적으로 CAM형 광합성(밤에 co2 흡수 및 고정, 낮에 당을 합성)을 하는 것입니다. 2. 잎의 모양이 특이하다 두 번째로는 잎은 아예 없거나, 퇴화되어 작고 가시 형태를 가지기도 하며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이전 1 다음